[언어공부법] 2. 비문학독해법
원문보기: http://gongsin.com/159935
언어의 핵심은 독해입니다.
오늘은 약속드린대로 비문학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눠보는 시간입니다.
(나눠보긴 개뿔 혼자 떠드는ㅋ.ㅋ)
1. 우리는 비문학을 왜 읽는가?
여러분들은 매회 모의고사에 6set씩 나오는 지문들을 왜 읽습니까?
문제를 풀려고 읽습니다.ㅎㅎㅎ
그렇다면 작가는 글을 왜 쓸까요?
설명문은 이해시키는 것이 목적이고,
논설문은 설득시키는 것이 목적입니다.
그리고 모든 수능 지문은 기본적으로 설명문입니다.
특정 영역에 우수한 학생들이 유리하지 않도록 출제한다는 기본 원칙에 따라,
논설문이라도 일단 설명을 해주고 그를 기반으로 주장을 펼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수능 언어영역의 비문학 지문은 모두 설명문입니다.
우리가 할 일은 그것을 '이해'하는 일입니다.
그렇다면 무엇을 이해해야 하는가.
그 '무엇'을 우리는 주제라 합니다.
문학이랑 똑같죠?
그래서 주제를 파악하는 것이 최선의 독해방법이라고 말씀드린 것입니다.
2. 주제를 어떻게 파악해야 할까?
이제 주제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은 알았습니다.
그렇데면 주제를 어떻게 찾는 것일까요?
그 것은 각 지문의 패턴의 형식에 따라 읽어내면 됩니다.
글의 패턴은 글쓴이가 주제를 전달하기 위해 선택한 설명 방식입니다.
이것을 통해 우리는 글쓴이가 요구하는 핵심적인 부분이 어디인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되고,
그 핵심적인 부분이 바로 주제입니다.
글쓴이가 선택하는 방법은 분류/과정, 사례, 문답으로 크게 세 가지입니다.
분류/과정이 압도적으로 많이 쓰이는 패턴입니다.
대부분의 글들은 이런 패턴을 취하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런 글들은 각 분류 대상(혹은 단게)의 특징을 파악하시면 됩니다.
이게 곧 주제들이거든요.
올해 9월에 치러진 2012학년도 9월 평가원 모의고사를 준비하시고,
17번~20번 문제가 딸린 '무엇을 진리라고 하는가' 지문을 한번 보세요.
첫 문단에서 바로
"이 문제에 대한 대표적인 이론에는 대응설, 정합설, 실용설이 있다"
라고 하면서 분류를 하고 있거든요.
그리고 다음 두번째, 세번째 네번째 문단에서는 똑같은 구성으로 설명을 하고 있어요.
"OO설은~ 때 그 판단을 진리라고 본다. ....예를 들어.....이러한 OO설은~중시한다"
17번: 각 단락마다 "예를 들어"라는 말과 함께 추상적인 개념인 대응설, 정합설, 실용설을 설명하고 있죠.
18번: ㉠바로 다음 문장에 "있는 그대로 정확하게 지각한다"라고 나와 있죠.
19번: 직접 확인했고, 통설을 근거로 했죠.
20번: 19번에서 답이 대응설, 정합설이었죠. 답은 주제 중 실용설을 뒤집은 것. 비중이 똑같기 때문에.
사례도 중요한 표현법 중 하나입니다.
사실 분류/과정+사례의 혼합형이 많습니다.
이런 패턴이 수능의 전형적인 패턴인 것 같아요.
위에서 예로 든 9평 '무엇을 진리라고 하는가'지문도 엄밀히 따지만 분류/과정+사례 지문이죠.
각 문단마다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니까요.
사례도 독해할 때 매우 좋은 장치가 됩니다.
글쓴이가 '사례를 들어서까지라도' 독자를 이해시키고 싶다는 뜻이거든요.
글을 써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사례 찾는게 굉장히 어렵고 귀찮은 작업이에요ㅡㅡ;;
그런 사례를, 부수적인 내용에 쓸 한가한 사람은 없겠죠?
따라서 사례 중심 지문은 사례를 통해 설명하고자 하는 바를 찾으면 그것이 주제가 됩니다.
진리 지문 바로 다음장에 있는 2012학년도 9월 평가원 모의고사 21번~23번 문항이 딸린 '데카르트의 업정' 지문을 보실까요.
이 지문이 전형적인 사례 중심 지문입니다.
첫문장에서
"근대 철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데카르트는 수학 분야에서도 불후의 업적을 남겼다"
라고 하면서 화제 제시를 하고 있어요.
그리고 나오는 수학자 라그랑주의 인용, 접속부사 '가령' 이후로 나오는 말들, 그림 등등이 모두 사례이고,
이 사례들이 설명하는 것이 좌표를 이용하여 기하학의 형태를 수의 집합으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21번: 고대 그리스에 있었으면 그건 데카르트의 업적이 아니죠.
22번: 정확히, 그대로 주제입니다.
23번: 이건 이의 제기가 있었던 문제인데요, 평가원 답변을 올려드리겠습니다.
이 문항은 지문에서 논의한 데카르트 좌표계를 실제 상황에 적용한 <보기>의 사례에 대해 지문에 근거하여 이해한 내용이 옳은가를 묻고 있습니다.
이 문항의 답지 ①에 대한 이의 제기는 사무실이 정육면체인 것에 착안하여 데카르트 좌표계를 활용하였다는 것을 지문에 근거하여 찾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지문의 둘째 문단에서 x, y, z 세 축이 직교하는 좌표계를 데카르트 좌표계라고 설명하였습니다. 그리고 <보기>에서는 모든 사무실이 같은 크기의 정육면체임을 주목한다고 하였습니다. 정육면체는 한 점에서 만나는 세 모서리가 직교하고 그 세 모서리의 길이가 같은 입체 도형입니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면 같은 크기의 정육면체로 구성된 건물에 대해 세 개의 직교하는 축을 상정하고, 각 사무실에 좌표를 하나씩 대응시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답지 ③에 대한 이의 제기는 사무실까지의 거리에 따라 사무실의 호수가 정해진다고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파리의 위치에 대한 지문 둘째 문단의 설명과 원의 방정식에 대한 셋째 문단의 설명으로 볼 때, 이 문항에서 ‘거리’는 ‘직선 거리’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원점으로부터 사무실까지의 거리”가 같은 사무실은 여럿 있을 수 있습니다. 예컨대 <보기>에서 321호와 231호는 원점으로부터의 거리가 같지만 두 사무실의 호수는 다릅니다. 따라서 원점에서 사무실까지의 거리에 따라 사무실의 호수가 정해지는 것은 아닙니다.
-KICE(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제 공부법 칼럼들도 거의 다 사례 중심의 비문학 지문이라고 볼 수 있죠.
지금 이 글도 기출들을 찾아가면서 글을 쓰고 있으니까요ㅋㅎㅎㅎ
(이렇게 말해주면 더 감이 잘 오실려나?)
마지막으로 문답입니다.
문답 유형이 가장 독해하기 쉬운 패턴입니다.
딱 질문이 드러나거든요.
그 질문에 대해 전제 글의 내용을 종합하여 답을 찾으면 그것이 주제입니다.
09학년도 대수능 43번~46번 문항이 딸린 '동영상 압축 기술' 지문을 함께 봐요~
(죄송해요 두 시험이나 찾게 만들어서...ㅠ_ㅠ 올해 9평에는 문답 유형이 없더라구요..)
첫문장에서
"컴퓨터에서 동영상을 본 사람은 한 번쯤 '어떻게 작은 파일 안에 수십만 장이 넘는 화면들이 들어갈 수 있을까?'하는 의문을 가진 적이 있을 것이다."
라며, 의문문은 인용하여 화제 제시를 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작은 파일 안에 수십만 장이 넘는 화면들이 들어갈 수 있는지
만 찾으면 답이 나오는거거든요.
그리고 첫 단락의 마지막 줄에서 화면 간 중복, 화소 간 중복, 통계적 중복으로 분류를 합니다.
이제 각 단락의 핵심 내용을 뽑아 동영상 압축 기술 원리를 알아내면 그게 주제입니다.
제가 정리한 주제를 적어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화면: 출현/소멸/이동만 저장
화소: 밝기/색상 별로 없는것 제거
통계: 빈도 높은것 짧은 코드로
14번: 그대로 주제죠
15번: 비유를 일대일 대응하시면 됩니다.
16번: 각각 화면과 화소에 대한 설명이죠.
이런 식으로 글을 어떻게 썼나 생각해보면서 독해를 하시면,
글쓴이의 의도를 조금이나마 짐작할 수 있고 어떤 정보가 중요한 정보인지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이 길러집니다.
3. 읽으면서 정리해야 할 것
제가 저번주에 문학독해법 칼럼을 쓸 때
운문문학을 독해하며 정리해야 할 것 세 가지와
산문문학을 독해하며 정리해야 할 것 세 가지를 알려 드렸습니다.
그러면 당연히 비문학도 세 가지가 있겠죠?
먼저 화제를 적습니다.
화제는 첫 문단에서 가장 핵심적인 내용입니다.
보통 시중에 나와있는 문제집에서 주제라고 나와있는 한 줄 짜리가 제가 생각하는 화제입니다.
그런 한줄짜리 말로는 문제가 하나도 풀리지 않는데 왜 그걸 주제라고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그것은 그냥 무엇을 썼나 하는 정도밖에 안 되는것 같아요.
고난이도 지문일수록 이것이 중요합니다.
읽으면 읽을수록 무슨 말인지 모르고 논리가 옆으로 샐수가 있어요.
그럴 때마다 서론에서 제시한 화제가 무엇인지를 생각하고,
그 화제를 꽉! 잡고 읽어내려가야 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유형을 적습니다.
이것이 바로 테마 2에서 설명한 패턴이지요.
어떤 패턴인지 잘 모르실 때는 표현기법이 무엇인지를 보면 됩니다.
그래도 모르겠으면 선생님들게 질문을 하셔도 좋고,
저한테 phs911221@gongsin.com으로 보내셔도 좋습니다.ㅎㅎㅎ
마지막이 가장 중요한데,
세번째로 주제를 적습니다.
해설에 보통 나와있는 주제랍시고 나와 있는 한줄짜리 말고요,
문제 풀이에 직접 쓰일 수 있는 실질적인 주제를 말하는 것입니다.
12학년도 대수능 6월 평가원 모의평가 16번~18번 문항이 딸린 지문에서,
주제는 달랑 '혁신의 확산'이 아니고,
확산의 과정-시간적-발생기
-확산
-심화/포화
공간적-전염-인접(거리)
-계층-크기
수용자-초기(완만)-소수
↓(급증) -다수
-다수
-포화기(완만)-소수
이런 식으로 나와야 합니다.
'혁신의 확산'은 '화제'로서, '무엇을 썼나'에 해당하는 내용입니다.
주제는, 그 정의에 충실해서,
글쓴이가 말하고자 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계속 되뇌이며 고민해야 하는 것입니다.
4. 제발 국어사전 좀 써라!
이런 얘기 정말 많이 들어봤을 거에요.
대부분의 공신님들께서 강조하시는 내용이죠.
이유는 그 분들께서 설명해주셨으니가 다 아시죠?
저는 한번 더 언급하고, 한번 더 잔소리하는 정도로 하고 넘어갈게요.
귀찮아서 그러는거 절대 아니네요 ㅋㅎㅎㅎ
항상 후배님들을 생각하는 제 마음, 잘 아시죠? ♡
5. 능동적으로 소통하며 읽기
이 글을 읽고 있는 후배님들 중 예비 수험생 중에는 이런 학생들 많은 것 같아요.
(예비고2는 시험을 4번 밖에 안 봐서 잘 모를걸요ㅋ)
"언어 점수는 일정하지 않고 성적이 춤을 춘다"
아님 말구요 ㅋㅋㅋㅋ
적어도 저는 그랬거든요.
왜 그랬나 생각을 해보니.
컨디션이 좋은 날은 집중이 잘 되서 점수가 잘 나오고,
컨디션이 안 좋은 날은 집중이 안 되서 점수가 잘 안 나오는거이었어요.
그날 상태에 따라 좌우되니 점수에 일관성이 없을 수 밖에요.
언어는 집중력 싸움이거든요.
사실 제가 위에서 설명한거 다 필요없어요.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생각하며 능독적으로 읽는다
이게 최고의 독해법입니다.
기계적으로 읽지 마세요.
언어 영역 문제를 풀 때 참 많은 학생들이 기계적으로
'그러나'가 나오면 세모 치고,
'따라서' 다음 문장 밑줄 치고,
정의하는 개념 나오면 네모 치고,
이렇게 독해를 합니다.
이런 공부법이 틀렸다는게 아닙니다.
손만 움직이면서 머리는 쓰지 않는것을 비판하는 것입니다.
생각하세요.
무조건 생각하려고 노력하시고, 머리를 최대한 굴리세요.
지문을 어떻게든 이해하겠다는 생각으로 공부하세요.
그게 최선입니다.
'내 이야기 > 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어공부법] 3. 현수에게 물어봐~ (0) | 2012.01.08 |
---|---|
[언어공부법] 1. 문학독해법 (3) | 2011.12.24 |
[언어공부법] 0. 언어란? (+ 듣기 & 쓰기 공부Tip) (3) | 2011.12.10 |